어리바리 신입 개발자의 얼렁뚱땅 개발 기록 ✨
23.06.12 / 스프링부트 JRE 경로 설정, Maven build(설정과 테스트 오류), 라이브러리 충돌 본문
Back - end/SPRINGBOOT
23.06.12 / 스프링부트 JRE 경로 설정, Maven build(설정과 테스트 오류), 라이브러리 충돌
낫쏘링 2023. 6. 12. 10:19728x90
Maven build 하는 이유? 한 번 설정해두면 톰캣 없이 WAS 실행 됨
[ 1. 환경 변수 설정 ]
[ 2. 스프링부트에서 JRE 경로 설정 ]
[ 3. 스프링부트에서 Maven build ]
maven build 설정 수정 : Run As - Run configurations...
[ 에러1 : maven build 테스트 오류 ]
주의 : 처음에 스프링부트 스타터로 프로젝트를 만들었을때 Group / Artifact / Package 잘 못 썼다고 나중에 패키지에서 수정하면 문제가 생긴다.
프로젝트 내의 모든 Group / Artifact / Package를 일치시켜줘야 한다.(수정하지 않고 그냥 다시 만드는게 나음)
프로젝트 내의 모든 Group / Artifact / Package를 일치시켜줘야 한다.(수정하지 않고 그냥 다시 만드는게 나음)
pom.xml 파일에서 <properties> 내의 </java.version> 뒤에 <maven.test.skip>true</maven.test.skip> 추가해주거나
모든 Group / Artifact / Package를 일치시켜준다.
모든 Group / Artifact / Package를 일치시켜준다.
<groupId>ksmart</groupId>
<artifactId>springboot</artifactId>
<version>0.0.1-SNAPSHOT</version>
<name>springboot</name>
<description>ksmart project for Spring Boot</description>
<properties>
<java.version>17</java.version>
<maven.test.skip>true</maven.test.skip>
</properties>
[ 에러2 : 라이브러리가 충돌했을 때 라이브러리를 다시 업데이트해주는 방법 ]
그래도 만약 안되면? 라이브러리를 전부 삭제하고 스프링부트를 다시 실행한다.
728x90
'Back - end > 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 SpringBoot / Gradle ] 빌드 관리 도구 Gradle과 Maven (Gradle 설치) (0) | 2023.09.04 |
---|---|
23.06.19 / 데이터 베이스 연결과 로그 (log4jdbc) (0) | 2023.06.19 |
23.06.13 / thymeleaf - 레이아웃 라이브러리 (0) | 2023.06.13 |
23.06.12 / Thymeleaf 플러그인 설치(Thymeleaf 자동 완성) (0) | 2023.06.12 |
23.06.01 / Spring Boot 설치 및 기본설정 (0) | 2023.06.0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