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어리바리 신입 개발자의 얼렁뚱땅 개발 기록 ✨

23.06.01 / Spring Boot 설치 및 기본설정 본문

Back - end/SPRINGBOOT

23.06.01 / Spring Boot 설치 및 기본설정

낫쏘링 2023. 6. 1. 16:21
728x90

[ Spring Boot 설치 ]

 

Spring | Tools

 

spring.io

  • 이클립스 버전으로 다운 받아서 로컬 디스크(C:) 에 붙여넣기 (압축 안푼 상태)
  • 윈도우 - cmd
    cd / => dir /w => java -jar spring탭 => 압축풀기 시작 - 완료되면 닫기
  • 다시 로컬 디스크 가면 압축 풀려있음 (sts-4.18.1.RELEASE 폴더)
  • SpringToolSuite4.ini 파일 메모장으로 열기
  • -Xms1024m으로 수정하고 저장 (램 8기가면 설정하고 16기가 이상이면 그냥 써도 됨)

 

[ Spring Boot 기본 설정 / 언어인코딩]

1. window - Preferences
enco 검색해서 Text, Java Properties File - Spring Properties File 총 2 개UTF-8로 바꿔주기

 

[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생성]

1. File - New - Spring Starter Project

Group 이름과 Package 이름 일치시켜줘야 한다. 후에 패키지 이름 실수 했다고 수정하면 오류 발생함

 

Spring Boot DevTools / Spring Web / Thymeleaf 체크

2. Finish하면 다운로드가 시작된다.

다운로드 완료

src/main/resources - static : js, css, html, 이미지 파일을 위한 폴더
src/main/resources - templates : Thymeleaf을 위한 폴더

3. apllication.properties에서 서버포트와 thymeleaf 설정하고 저장

 

[ 체크를 하지않고 생성했을 경우... ]

패키지 마우스 오른쪽 버튼 - Spring - Add Starters

 

[ Controller 생성 / 서블릿 생성 ]

1. 패키지랑 클래스 생성  / 패키지 생성할때는 ksmart.springboot 패키지에서 오른쪽 마우스하고 생성하기

 

2. MainController 클래스를 서블릿으로 만들어준다.
    @Controller는 주석 아니고 프로퍼티
    @Controller 입력하고 @Controller에 커서 두고 ctrl + 스페이스바 해서 import 해주면 된다. import 타자치지 말기!

ctrl + 스페이스바
컨트롤러 작업 끝

 

[ main.html 파일 생성 ]

1. Help - eclipse Marketplaces - Eclipse Web Developer Tools 3.29 설치

 

2. Always trust all content 체크 => 무슨 창 뜨면 yes 누르고 Trust Selected

 

4. window - Preferences
enc 검색해서 xml file, css file, html file 총 3 개UTF-8로 바꿔주기

 

5. window - Perspective - Customize Perspective...

 

6. Shortcuts - Shortcut Categories - Web 체크

 
7. src/main/resources - templates - 오른쪽 마우스 - new - html

 

8. main.html 생성

 

9. TEST 작성 

 

10. Window - Preferences - html - Templates - html5 - Edit - <html xmlns:th="http://www.thymeleaf.org"> 수정

html 파일 생성 했을 때 자동으로 타임리프 코드 추가해줌

 

[ StringBoot로 실행하기 ]

1. 프로젝트 파일 오른쪽 마우스 -> run as -> spring boot app

 

여기까지 하면 콘솔창에 이렇게 뜬다. 아까 처음에 포트번호 80으로 변경한 것도 뜸

인터넷에 localhost 치면 templates폴더에 생성한 main.html에 작성한 내용이 뜬다.

그러면 콘솔에 이렇게 추가됨 서블릿 객체 생성 -> 서블릿이 사용될 준비가 되었다.

 

[ 자동완성 순서 바꾸기 ]

1. Window - Preferences

 

2. Web - HTML Files - Editor - Content Assist - Select the proposal categories contained in thr 'default' 순서 바꾸기

 


[ Export ]

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 버튼 - Export

 

Archive File - Next

 

To archive file : Export 할 프로젝트 선택 - Finish

 

[ Import ]

프로젝트 오른쪽 마우스 버튼 - Import

 

Projects from Folder or Archive

 

Import source - Archive : import할 파일 선택&nbsp; / Folder : import할 폴더 선택&nbsp; - Finish

728x90